반응형
Debian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Linux 배포판 중 하나로, 안정성과 오픈 소스 철학을 기반으로 한 커뮤니티 주도형 운영체제입니다. Debian의 릴리즈 역사를 살펴보면, 각 릴리즈는 별도의 코드네임과 릴리즈 번호로 관리됩니다. Debian은 일반적으로 안정(stable), 테스트(testing), 불안정(unstable) 브랜치로 나뉘며, 주요 릴리즈는 안정 브랜치에서 이루어집니다. 다음은 Debian의 주요 릴리즈 역사입니다:
1. Debian 1.1 "Buzz" (1996년 6월)
- 최초의 안정 릴리즈로, 1996년 6월에 발표되었습니다.
- 이름은 토이스토리 캐릭터인 "Buzz Lightyear"에서 따왔습니다.
- Linux 커널 2.0 기반.
2. Debian 2.0 "Hamm" (1998년 7월)
- 첫 번째로 완전히 ELF 바이너리 형식으로 전환된 버전.
- 큰 전환점이 되었으며, GNU C 라이브러리 2.0 지원.
3. Debian 3.0 "Woody" (2002년 7월)
- 첫 번째로 FreeBSD 커널의 일부를 지원.
- GNOME과 KDE가 기본 데스크탑 환경으로 채택되었습니다.
4. Debian 4.0 "Etch" (2007년 4월)
- 그래픽 설치 지원.
- Debian Installer가 개선되었고, 더 많은 하드웨어를 지원하게 됨.
- X.Org 서버로 전환.
5. Debian 5.0 "Lenny" (2009년 2월)
- 다양한 ARM 아키텍처를 지원.
- 설치 프로그램과 시스템 안정성 측면에서 개선.
- OpenJDK 채택.
6. Debian 6.0 "Squeeze" (2011년 2월)
- non-free 소프트웨어를 제외한 완전한 자유 소프트웨어 버전 제공.
- KFreeBSD 지원.
7. Debian 7.0 "Wheezy" (2013년 5월)
- UEFI 지원 추가.
- 다중 아키텍처 지원으로 여러 CPU 아키텍처에서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게 됨.
8. Debian 8.0 "Jessie" (2015년 4월)
- systemd를 기본 init 시스템으로 전환.
- GNOME 3.x와 KDE Plasma 4.x 채택.
9. Debian 9.0 "Stretch" (2017년 6월)
- MariaDB를 MySQL 대신 사용.
- Firefox와 Thunderbird가 다시 기본 브라우저와 이메일 클라이언트로 복귀.
10. Debian 10.0 "Buster" (2019년 7월)
- AppArmor 보안 프레임워크 기본 활성화.
- GNOME 3.30이 기본 데스크탑으로 제공.
- Wayland가 기본 디스플레이 서버로 채택.
11. Debian 11.0 "Bullseye" (2021년 8월)
- Rootless Podman, nftables 기반 방화벽, 시스템 성능 및 보안 개선.
- GNOME 3.38 채택.
12. Debian 12.0 "Bookworm" (2023년 6월)
- 리눅스 커널 6.x 채택.
- 더욱 향상된 하드웨어 지원과 성능.
- GNOME 43, KDE Plasma 5.27, XFCE 4.18 등 최신 데스크탑 환경 포함.
각 릴리즈는 "토이스토리" 영화의 캐릭터에서 따온 코드네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Debian 프로젝트는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Debian의 안정 릴리즈는 평균 2~3년 주기로 출시되며, 보안 업데이트와 유지보수 기간도 약 5년 동안 제공됩니다.
Debian의 다음 릴리즈는 "Trixie"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반응형
'Linux Unix > Debi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ebian ] sudo - root 로그인 실패 시 (1) | 2024.10.14 |
---|---|
[ Debian ] ping 설치하기 (0) | 2024.06.22 |
[ Debian ] sudo 설치하기 (0) | 2024.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