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하드 드라이브를 설치하고 마운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는 주로 커맨드 라인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ext4를 사용하는 경우
1. 하드 드라이브 연결
하드 드라이브를 물리적으로 컴퓨터에 연결합니다. SATA나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할 수 있습니다.
2. 디스크 확인
하드 드라이브가 시스템에 잘 인식되었는지 확인합니다.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fdisk -l
이 명령은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디스크의 목록을 보여줍니다.
3. 파티션 생성
하드 드라이브에 파티션을 생성해야 할 경우, fdisk
나 parted
같은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ev/sdb
드라이브에 파티션을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sudo fdisk /dev/sdb
파티션을 생성하고 저장한 후, 시스템에 변경사항을 적용하기 위해 파티션 테이블을 다시 읽도록 합니다.
4. 파일 시스템 생성
새로운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려면 다음 명령을 사용합니다:
sudo mkfs.ext4 /dev/sdb1
5. 마운트 포인트 생성
마운트할 디렉토리(마운트 포인트)를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mnt/newdisk
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하려면:
sudo mkdir /mnt/newdisk
6. 마운트
파티션을 마운트 포인트에 마운트합니다:
sudo mount /dev/sdb1 /mnt/newdisk
7. 자동 마운트 설정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하려면 /etc/fstab
파일에 마운트 정보를 추가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etc/fstab
파일을 편집합니다:
sudo nano /etc/fstab
그리고 다음 줄을 추가합니다:
/dev/sdb1 /mnt/newdisk ext4 defaults 0 2
이제 리부팅할 때마다 시스템이 자동으로 드라이브를 마운트할 것입니다.
2. X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리눅스에서 X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하드 드라이브를 설치하고 마운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하드 드라이브 연결
먼저, 하드 드라이브를 물리적으로 컴퓨터에 연결합니다. SATA나 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디스크 확인
시스템에 하드 드라이브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 명령을 사용합니다:
sudo fdisk -l
이 명령은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디스크의 목록을 보여줍니다.
3. 파티션 생성
만약 새 하드 드라이브라면, fdisk
나 parted
도구를 사용하여 파티션을 생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dev/sdb
드라이브에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sudo fdisk /dev/sdb
파티션 생성 후,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나와 시스템이 새로운 파티션 테이블을 인식하게 합니다.
4. XFS 파일 시스템 생성
새로운 파티션에 XFS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sudo mkfs.xfs /dev/sdb1
여기서 /dev/sdb1
은 새로 생성한 파티션을 가리킵니다.
5. 마운트 포인트 생성
마운트할 디렉토리(마운트 포인트)를 생성합니다:
sudo mkdir /mnt/newdisk
6. 마운트
생성한 XFS 파티션을 마운트 포인트에 마운트합니다:
sudo mount /dev/sdb1 /mnt/newdisk
7. 자동 마운트 설정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하도록 /etc/fstab
파일에 마운트 정보를 추가합니다:
sudo nano /etc/fstab
다음 줄을 파일에 추가합니다:
/dev/sdb1 /mnt/newdisk xfs defaults 0 2
이 설정을 통해 시스템이 리부팅될 때마다 자동으로 해당 하드 드라이브가 마운트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X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하드 드라이브를 성공적으로 설치하고 마운트할 수 있습니다.
'Linux Unix > Comma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 gzip - 기본 압축 프로그램으로 압축 및 압축 풀기 (0) | 2024.12.27 |
---|---|
[ Linux ] grep - 테스트 파일에서 특정 문자열을 검색하기 (1) | 2024.12.10 |
[ Linux ] hosts.allow, hosts.deny - IP, 서비스 차단하기 (0) | 2024.12.10 |
[ Linux ] hosts.allow, hosts.deny - 특정 서비스에서 특정 ip 접속 막기 (sshd) (0) | 2024.12.10 |
[ Linux ] top - CPU 사용량 확인하기 (0) | 2024.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