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라즈베리를 이용한 Border Router 개발하기
1. 라즈베리파이에서 Thread (IEEE 802.15.4) 연결 방식
라즈베리파이는 Wi-Fi와 Bluetooth는 내장하지만 IEEE 802.15.4 (Thread에서 사용하는 무선 프로토콜)는 내장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음 외부 하드웨어가 필요합니다:
1. Radio Co-Processor (RCP) 또는 NCP 동글
- 대표적인 예시:
- [Nordic nRF52840 Dongle]
- [Silicon Labs EFR32 dongle]
- [Adafruit nRF52840 USB stick]
- 라즈베리파이에 USB 또는 GPIO UART/SPI로 연결
- OpenThread 기반 Border Router에서 RCP로 사용됨
2. OpenThread Border Router (OTBR) 소프트웨어
- Raspberry Pi에 설치하여 Thread Border Router 역할을 하도록 구성
- Matter over Thread 디바이스들과 통신 중개 가능
- 구성 시 IPv6 over Thread ↔ Ethernet/Wi-Fi IPv6 중계 (Backbone 연결)
2. Matter 디바이스 연결 구조
[Matter over Thread Device] ←IEEE 802.15.4→ [RCP Dongle]
│
┌──────────────┐ │
│ Raspberry Pi │ ←────┘
│ + OTBR │
└──────────────┘
│
┌─────────────┐
│ HomeAssistant│ (Matter Controller)
└─────────────┘
- RCP Dongle: IEEE 802.15.4 (Thread 무선) 처리
- OTBR: IPv6 routing + Thread network routing
- Home Assistant 등은 OTBR를 통해 Matter 디바이스를 제어
3. 실전 팁
- 라즈베리파이 4 이상 + nRF52840 USB 동글 + OTBR 설치 → 가장 일반적인 Matter/Thread 개발환경
- Matter 디바이스는 Thread 전용일 수 있으므로 Thread 네트워크가 먼저 구성되어야 pairing 가능
- Zigbee는 별개의 프로토콜이므로 절대 혼동하면 안 됨 (IEEE 802.15.4는 공유하지만 프로토콜 스택이 다름)
반응형
'IoT > Ma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atter ] Arduino Nano Matter와 Matter with headers 의 차이점은? (0) | 2025.05.03 |
---|---|
[ Matter ] Matter에서 Thread란? (0)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