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ordPress에서 서브도메인을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기본적으로 웹 호스팅 서비스와 도메인 관리 권한이 있어야 합니다.
1. 도메인 관리자에서 서브도메인 생성하기
먼저 도메인 관리 패널(예: GoDaddy, Namecheap, Cloudflare 등)에 접속하여 서브도메인을 추가합니다.
- 예:
blog.example.com
또는shop.example.com
같은 형태로 서브도메인을 생성합니다. - 서브도메인이 생성되면 해당 서브도메인을 호스팅 서버의 IP 주소와 연결되도록 DNS 설정을 합니다.
2. 호스팅 서버에서 서브도메인 설정하기
- 웹 호스팅 관리 패널(cPanel, Plesk 등)에 로그인한 후, "서브도메인"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 서브도메인을 추가하고, 이 서브도메인에 연결될 폴더를 지정합니다. (예:
/public_html/blog
)
3. WordPress 설치하기
서브도메인에 새로운 WordPress를 설치하거나 기존 WordPress를 복사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WordPress 설치: 서브도메인 폴더에 WordPress를 새로 설치합니다.
- 기존 WordPress를 사용하는 경우:
- 기존 WordPress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사이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WordPress 멀티사이트(Multisite) 기능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4. WordPress 멀티사이트 설정하기 (옵션)
wp-config.php
파일을 열어 다음 코드를 추가하여 멀티사이트를 활성화합니다:
define('WP_ALLOW_MULTISITE', true);
- WordPress 대시보드에 로그인한 후 "도구 > 네트워크 설정"으로 이동하여 멀티사이트 설치를 진행합니다. 이때 "서브도메인" 옵션을 선택합니다.
- 멀티사이트 설정을 완료한 후,
wp-config.php
와.htaccess
파일에 WordPress가 제공하는 코드를 추가합니다.
5. 서브도메인에 WordPress 사이트 추가하기
- 멀티사이트가 활성화된 경우, 대시보드에서 "사이트 > 새로 추가"를 선택하여 서브도메인 기반의 새로운 사이트를 추가합니다.
6. SSL 인증서 적용하기 (HTTPS)
- 서브도메인에 SSL 인증서를 적용하려면, Let's Encrypt 또는 유료 SSL 인증서를 사용하여 서브도메인에도 HTTPS를 적용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WordPress 서브도메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문제가 발생하거나 구체적인 질문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반응형
'Framework > WordPr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WordPress ] Post와 Page의 주요 차이점 알아보기 (5) | 2024.10.27 |
---|---|
[ WordPress ] Privacy 화면 설정하기 (0) | 2024.10.26 |
[ WordPress ] WordPress 설치하기 (4) | 2024.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