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Unix/Command (58) 썸네일형 리스트형 [ Linux ] more - 한 화면씩 데이터 내용 보기 more 명령어는 Linux에서 파일의 내용을 한 화면씩 출력하는 데 사용됩니다. cat 명령어와 달리, more는 파일의 내용이 많을 때 페이지 단위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넘기며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주로 긴 텍스트 파일을 읽을 때 유용합니다.1. 기본 사용법more [옵션] 파일이름2. 예제파일 내용 한 화면씩 출력: more filename.txtfilename.txt의 내용을 한 화면씩 출력하며, 스페이스바를 눌러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다중 파일 출력: more file1.txt file2.txtfile1.txt를 먼저 출력한 후, 스페이스바로 모든 내용을 확인하면 file2.txt로 넘어갑니다.3. 주요 키 조작법스페이스바: 다음 페이지로 이동Enter: 한 .. [ Linux ] cat - 파일 내용 보기 cat 명령어는 Linux에서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거나 여러 파일을 결합할 때 사용합니다. 주로 텍스트 파일을 화면에 표시하거나, 파일을 연결하여 출력하거나, 새로운 파일로 저장할 때 유용합니다. 기본 사용법과 자주 사용하는 옵션을 소개합니다.기본 사용법cat [옵션] 파일이름예제파일 내용 출력: cat filename.txtfilename.txt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합니다.여러 파일 결합: cat file1.txt file2.txtfile1.txt와 file2.txt의 내용을 순서대로 출력합니다.파일 내용 출력 후 새로운 파일에 저장: cat file1.txt file2.txt > combined.txtfile1.txt와 file2.txt의 내용을 결합하여 combined.txt라는 새로운 .. [ Linux ] rmdir - 디렉터리 삭제하기 rmdir 명령어는 Linux에서 비어 있는 디렉토리를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rmdir은 빈 디렉토리만 삭제할 수 있으므로, 디렉토리 안에 파일이나 하위 디렉토리가 있는 경우에는 삭제할 수 없습니다. 사용법과 몇 가지 유용한 옵션을 소개하겠습니다.기본 사용법rmdir [옵션] 디렉토리_이름예제비어 있는 디렉토리 삭제: rmdir my_directorymy_directory가 비어 있다면, 이 명령어로 디렉토리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여러 비어 있는 디렉토리 삭제: rmdir dir1 dir2 dir3dir1, dir2, dir3와 같은 여러 비어 있는 디렉토리를 한 번에 삭제할 수 있습니다.유용한 옵션상위 디렉토리까지 함께 삭제 (-p): rmdir -p parent_dir/child_dir이.. [ Linux ] mkdir - 디렉터리 만들기 mkdir 명령어는 Linux에서 새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사용합니다. 기본 사용법과 몇 가지 유용한 옵션을 소개하겠습니다.기본 사용법mkdir [옵션] 디렉토리_이름예제디렉토리 생성: mkdir my_directory현재 디렉토리에 my_directory라는 이름의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다중 디렉토리 생성: mkdir dir1 dir2 dir3한 번에 여러 디렉토리(dir1, dir2, dir3)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유용한 옵션부모 디렉토리와 함께 생성 (-p): mkdir -p /home/user/parent_dir/child_dir만약 parent_dir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 명령어는 parent_dir과 그 안의 child_dir을 모두 한 번에 생성합니다. 부모 디렉토리가 이미 .. [ Linux ] ls - 디렉토리 내용 보기 ls 명령어는 Linux에서 디렉토리의 내용(파일 및 하위 디렉토리)을 나열할 때 사용합니다. 파일의 이름, 디렉토리 구조, 파일 권한, 파일 크기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사용법과 자주 사용하는 옵션을 소개하겠습니다.기본 사용법ls [옵션] [디렉토리 경로]디렉토리 경로를 생략하면 현재 디렉토리의 내용을 나열합니다.자주 사용하는 옵션기본 사용: ls현재 디렉토리의 내용을 간단하게 나열합니다.상세 정보 표시 (-l): ls -l파일과 디렉토리의 상세 정보를 열거합니다. 파일 권한, 소유자, 파일 크기, 수정 시간 등을 포함합니다.숨김 파일 표시 (-a): ls -a숨김 파일(.으로 시작하는 파일)도 함께 표시합니다.크기를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로 표시 (-h): ls -lh파일 .. [ Linux ] cd - 디렉토리 변경하기 cd 명령어는 Linux에서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사용 방법은 매우 간단하며, 기본적인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cd [디렉토리 경로]예제홈 디렉토리로 이동: cd ~또는 cd위 두 명령어는 모두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cd ..현재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특정 디렉토리로 이동: cd /home/user/Documents/home/user/Documents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현재 디렉토리로 돌아오기: cd .현재 디렉토리 위치를 그대로 유지합니다.참고 사항절대 경로를 사용할 경우, 루트(/)부터 시작하는 전체 경로를 입력해야 합니다.상대 경로를 사용할 경우, 현재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이동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 [ Linux ] ping - 네트워크 서버의 상탤를 확인하기 ping 명령어는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특정 서버나 IP 주소에 패킷을 보내고 응답 시간을 측정하여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주로 네트워크 연결 상태 점검이나 지연 시간(핑 타임)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기본 사용법터미널이나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ping [옵션] [도메인 또는 IP 주소]예:ping google.com이 명령은 google.com으로 패킷을 보내고 응답 시간을 표시합니다.주요 옵션-c [숫자]: 특정 횟수만큼 핑을 보냅니다. 예를 들어, -c 4는 4번만 핑을 보냅니다. ping -c 4 google.com-t: (Windows) 핑을 중단할 때까지 계속 보냅니다. 기본적으로 이 옵션 없이도 계속 핑을 보냅니다. ping.. [ Linux ] journalctl - 서비스로 등록된 프로세스 log 보기 Linux에서 서비스 로그를 보는 방법은 주로 journalctl 명령어와 특정 서비스의 로그 파일을 직접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에 각각의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1. journalctl을 사용한 로그 보기journalctl 명령어는 시스템 로그를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systemd로 관리되는 서비스의 로그를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특정 서비스의 로그 보기journalctl -u 서비스이름.service예를 들어, nginx 서비스의 로그를 확인하고 싶다면:journalctl -u nginx.service로그를 실시간으로 보기 (tail 기능)journalctl -u 서비스이름.service -f예를 들어, nginx 서비스의 실시간 로그를 확인하려면:journalctl -u ng..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