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inux Unix

(100)
[ Linux ] journalctl - 서비스로 등록된 프로세스 log 보기 Linux에서 서비스 로그를 보는 방법은 주로 journalctl 명령어와 특정 서비스의 로그 파일을 직접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에 각각의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1. journalctl을 사용한 로그 보기journalctl 명령어는 시스템 로그를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systemd로 관리되는 서비스의 로그를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특정 서비스의 로그 보기journalctl -u 서비스이름.service예를 들어, nginx 서비스의 로그를 확인하고 싶다면:journalctl -u nginx.service로그를 실시간으로 보기 (tail 기능)journalctl -u 서비스이름.service -f예를 들어, nginx 서비스의 실시간 로그를 확인하려면:journalctl -u ng..
[ Debian ] sudo - root 로그인 실패 시 1. root 로그인 안 되는 이유Debian에서 기본적으로 root로 로그인이 안 되는 이유는 보안 강화 때문입니다. 특히, Debian은 보안 사고를 예방하고 시스템 보호를 위해 root 계정 사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을 권장합니다. 다음은 그 주요 이유들입니다.보안 강화: root 계정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할 수 있는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수로 시스템을 손상시키거나 외부 침입자가 root 계정에 접근하면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root로 직접 로그인하는 것을 막아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sudo 사용 권장: Debian에서는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필요한 경우 sudo 명령을 사용하여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sudo는 특정 ..
[ Debian ] 릴리즈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기 Debian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Linux 배포판 중 하나로, 안정성과 오픈 소스 철학을 기반으로 한 커뮤니티 주도형 운영체제입니다. Debian의 릴리즈 역사를 살펴보면, 각 릴리즈는 별도의 코드네임과 릴리즈 번호로 관리됩니다. Debian은 일반적으로 안정(stable), 테스트(testing), 불안정(unstable) 브랜치로 나뉘며, 주요 릴리즈는 안정 브랜치에서 이루어집니다. 다음은 Debian의 주요 릴리즈 역사입니다:1. Debian 1.1 "Buzz" (1996년 6월)최초의 안정 릴리즈로, 1996년 6월에 발표되었습니다.이름은 토이스토리 캐릭터인 "Buzz Lightyear"에서 따왔습니다.Linux 커널 2.0 기반.2. Debian 2.0 "Hamm" (1998년 7월)첫 번째..
[ Linux ] rmdir - 디렉토리 삭제하기 rmdir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비어 있는 디렉터리를 삭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디렉터리 안에 파일이나 다른 디렉터리가 있으면 삭제할 수 없습니다. 이 명령어는 단순히 디렉터리를 삭제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비어 있는 디렉터리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1. 기본 사용법 rmdir [옵션] 디렉터리명[옵션]은 선택 사항으로, 삭제할 때 특정 동작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디렉터리명은 삭제하고자 하는 비어 있는 디렉터리의 이름입니다.2. rmdir 사용 예시1. 기본적인 디렉터리 삭제 rmdir my_foldermy_folder가 비어 있는 경우에만 삭제됩니다.디렉터리에 파일이나 다른 디렉터리가 포함되어 있다면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고 삭제되지 않습니다.2. 상위 디렉터리도 함께 삭제하기 (-p 옵션)-p 옵션을..
[ Linux ] mkdir - 디렉토리 만들기 mkdir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make directory"의 약자로, 파일 시스템 내에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 때 유용합니다. mkdir 명령어의 사용법과 다양한 옵션을 소개하겠습니다.1. 기본 사용법 mkdir [옵션] 디렉토리명[옵션]은 선택 사항으로, 디렉토리 생성 시 특정 동작을 지정할 때 사용합니다.디렉토리명은 생성하고자 하는 디렉토리의 이름입니다.2. 예시: 기본적인 디렉토리 생성 mkdir my_folder위 명령어는 현재 작업 디렉토리에 my_folder라는 이름의 새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생성된 디렉토리는 빈 상태이며, 새 파일이나 하위 디렉토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3. 주요 옵션1. -p 옵션 (부모 디렉토리 함께 생성)지정한 경로 ..
[ Linux ] ls - 디렉터리 내용 확인하기 ls 명령어는 리눅스와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디렉토리의 내용을 나열하는 데 사용됩니다. 파일과 디렉토리를 목록 형태로 보여 주며, 다양한 옵션을 통해 출력 형식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ls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과 주요 옵션을 설명하겠습니다.1. 기본 사용법 ls [옵션] [디렉토리][옵션]은 출력 형식을 조정할 때 사용하며, 생략할 수 있습니다.[디렉토리]는 파일 목록을 확인하고자 하는 디렉토리의 경로입니다. 디렉토리를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디렉토리의 내용을 표시합니다.2. 자주 사용되는 옵션1. 기본 사용법 (옵션 없이 사용) ls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디렉토리 이름을 나열합니다.2. -l 옵션 (긴 형식으로 출력) ls -l파일의 세부 정보(권한, 소유자, 파일 크기, 수정 날짜 등)를 ..
[ Linux ] cd - 디렉토리 변경 하기 cd 명령어는 리눅스와 같은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파일 시스템 내에서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줍니다. 다음은 cd 명령어의 사용법과 다양한 활용 예입니다.1. 기본 사용법 cd [디렉토리 경로][디렉토리 경로] 부분에 이동하고자 하는 디렉토리의 경로를 입력하면 됩니다.2. 주요 사용 사례절대 경로를 사용하여 이동하기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하는 절대 경로를 사용하여 특정 디렉토리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home/user/documents 디렉토리로 이동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cd /home/user/documents상대 경로를 사용하여 이동하기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기준으..
[ Linux ] pwd - 현재 디렉토리 경로 확인하기 pwd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를 출력하는 데 사용됩니다.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디렉토리의 경로를 표시해 줍니다. 이 명령어는 현재 디렉토리의 전체 경로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며, 파일 시스템 내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도와줍니다.pwd 명령어의 사용법기본적인 pwd 명령어의 사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명령어를 입력하기만 하면 됩니다:pwd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가 출력됩니다. 예를 들어, 현재 작업 디렉토리가 /home/user/documents인 경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home/user/documentspwd 명령어의 옵션pwd 명령어에는 몇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자주 사용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