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indows와 Linux를 듀얼 부팅으로 설치하는 것은 두 운영체제를 한 컴퓨터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입니다. 이 과정은 약간의 기술적 지식이 필요하지만, 아래 단계를 따라가면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준비물:
- Windows 설치 USB 또는 이미 설치된 Windows 시스템.
- Linux 설치 USB (예: Ubuntu, Fedora 등).
- 백업 저장소 (필요한 경우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 과정:
1. 데이터 백업
- 중요한 데이터는 반드시 외장 하드 드라이브나 클라우드에 백업합니다.
2. Windows 설치 또는 준비
- 이미 설치된 Windows가 있는 경우, 이 단계를 건너뛰고 3번으로 넘어갑니다.
- 새로운 Windows 설치가 필요하다면, Windows 설치 USB를 사용하여 설치합니다. (설치 가이드는 Windows 공식 웹사이트 참고)
3. 디스크 파티션 분할
- Windows 내에서 디스크 파티션을 만들어 Linux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합니다.
- 디스크 관리 도구 열기:
Win + X
->디스크 관리
. - C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우클릭 후 볼륨 축소를 선택하여 Linux를 설치할 공간을 만듭니다. 일반적으로 20GB 이상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 디스크 관리 도구 열기:
4. Linux 설치 USB 만들기
- 다운로드한 Linux ISO 파일을 USB에 구워 부팅 가능하게 만듭니다. 이를 위해
Rufus
또는UNetbootin
같은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Linux 설치 시작
- 컴퓨터를 재부팅하고 BIOS/UEFI 설정에 들어갑니다. (일반적으로
Del
,F2
,F10
, 또는Esc
키를 사용하여 진입) - Windows 11 설치 후 재부팅 시 BIOS/UEFI 메뉴로 들어갈 수 없을 때 참고하세요.
- USB 드라이브를 첫 번째 부팅 장치로 설정하고, 저장 후 재부팅하여 USB에서 부팅합니다.
6. Linux 설치 과정
- 부팅 후, Linux 설치 화면에서 Install Linux를 선택합니다.
- 설치 도중 "설치 유형"에서 "다른 OS와 나란히 설치" 옵션을 선택합니다.
- 여기서 설치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Windows 파티션을 인식하고, Linux를 설치할 파티션을 선택하게 됩니다. 만약 자동 인식되지 않으면, 수동으로 설치할 파티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 수동 파티션 설정: 사용자가 직접 파티션을 나누고 포맷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swap
파티션 (일반적으로 RAM 크기의 두 배, 하지만 최신 시스템에서는 적절한 양으로 설정).ext4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루트) 파티션.- 추가로,
/home
파티션을 별도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7. GRUB 부트로더 설치
- Linux 설치 마지막 단계에서, GRUB 부트로더를 설치하는 옵션이 나타납니다. 이 부트로더는 컴퓨터를 켤 때 어떤 운영체제를 부팅할지 선택할 수 있게 해줍니다.
- 설치 위치를 기본값으로 두거나,
/dev/sda
에 설치합니다. - 최신 Linux 설치 시 자동으로 Windows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설정이 됩니다.
8. 설치 완료 후 재부팅
-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 USB를 제거하고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 부팅 시 GRUB 부트로더 화면이 나타나며, 여기서 Windows 또는 Linux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추가 팁:
- 부트로더 문제 해결: 가끔 Windows 업데이트 후 GRUB 부트로더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Linux 라이브 USB로 부팅하고
boot-repair
도구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파티션 관리 주의: Linux 설치 시 파티션을 잘못 설정하면 Windows 데이터를 잃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이제 Windows와 Linux를 듀얼 부팅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필요에 따라 두 운영체제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제가 발생하거나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질문하세요!
반응형
'Linux Un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 service 등록 (2) - 서비스 파일 옵션 알아보기 (2) | 2024.10.21 |
---|---|
[ Linux ] service 등록 (1) - 서비스로 등록해서 서버 (Daemon) 사용하기 (0) | 2024.10.21 |
[ Linux ] service 등록 - bash script를 서비스로 등록하기 (0) | 2024.10.21 |
[ 리눅스 / Linux ] 네임스페이스, Cgroup을 알아보기 (0) | 2024.07.02 |
[ 리눅스 / Linux ] 리눅스 ABI란? (0) | 2024.07.02 |